임상병리사는 병원에서 혈액, 체액, 세포, 조직 등의 검사물을 채취하고 검사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입니다. 의료기사법에 근거하여 국가고시 시험에 합격해야 임상병리사 면허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임상병리사의 국가고시 응시자격, 합격률, 평균연봉 등을 정리하였으니 참고 바랍니다.
임상병리사
임상병리사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직업입니다. 병원에서 의사의 지도하에 각종 화학적 또는 생리학적 검사를 담당하는 전문 직업군이죠.
의료기사법에는 임상병리사가 수행하는 담당업무가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기생충학 · 미생물학 · 법의학 · 병리학 · 생화학 · 세포병리학 · 수혈의학 · 요화학 · 혈액학 분야,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한 검사물 분야 및 기초대사 · 뇌파 · 심전도 · 심폐기능 등 생리기능 분야의 화학적 · 생리학적 검사에 관하여 검사물 등의 채취와 검사, 검사용 시약의 조제, 기계 · 기구 · 시약 등의 보관 · 관리 · 사용, 혈액의 채혈 · 제제 · 제조 · 조작 · 보존 · 공급과 그 밖의 화학적 · 생리학적 검사"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응시자격
임상병리사가 되려면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국가고시에 합격을 해야 합니다.
임상병리사는 보건 · 의료분야의 전문 직업군이기에 국가고시에 응시하려면 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에서 관련 보건분야(임상병리학)를 전공하고 졸업을 해야 합니다. 복수전공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임상병리사 국가고시는 매년 1차례 시행이 되는데 보통 9월쯤에 원서접수가 시작되고 시험은 12월경 시행이 됩니다.
2024년도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일정은 아직 공지되지 않았으나 예년과 비슷한 시기에 원서접수 및 시험일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합격률
최근 5년간 임상병리사의 합격률 통계를 보면 매년 3천여명이 시험에 응시하여 85% 정도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합격률이 높다고 해서 시험의 난이도가 낮은 것은 아닙니다. 임상병리사와 같이 국가고시에 응시할 수 있는 요건으로 관련 학과 전공 및 졸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수 년동안 학교에서 관련 분야의 공부를 해왔기 때문에 시험 자체의 합격률은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임상병리사 뿐만 아니라 다른 의료기사의 합격률도 비슷합니다.
임상병리사 몇 명이나 있을까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임상병리사 국가고시에 합격한 임상병리사의 수는 몇 명이나 될까요.
통계청 자료를 보니 2020년까지의 임상병리사 수는 총 6만3천명 정도였습니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자가 1만5천명, 여자가 4만7천명 정도가 됩니다.
이후 매년 2,500명 정도가 임상병리사 국가고시에서 배출되어 왔으니 대략 7만명 정도가 될 것으로 추산됩니다.
임상병리사 진출분야별 평균연봉은
임상병리사 국가고시를 준비하시거나 혹은 진로를 생각하고 계시다면 임상병리사의 평균 연봉은 어느 정도가 될지 궁금하실텐데요.
임상병리사 면허를 취득하면 보통 의료기관으로 진출을 많이 합니다. 보건소, 검역소 등의 국가의료기관, 병원, 의원, 종합병원, 대학병원 등의 민간의료기관 등이 이에 해당할 것입니다. 물론 의료기관이 아니더라도 연구소, 제약회사 등 비의료기관으로 진출하는 분들도 꽤 많습니다.
통계청 자료를 찾다 보니 의료기관에 진출한 임상병리사의 평균연봉 통계가 있더군요. 그래서 의료기관 유형별로 평균연봉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비의료기관으로 진출한 분들도 상당히 많은 것으로 파악은 됐는데 관련 통계가 없어서 이 부분은 제외하겠습니다.
의료기관의 유형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소 및 보건기관이며 단위는 만원입니다.
의료기관 | 평균 | 남자 | 여자 |
상급종합병원 | 6,431 | 7,172 | 6,038 |
종합병원 | 4,602 | 5,568 | 4,150 |
병원 | 3,044 | 4,136 | 2,901 |
요양병원 | 2,876 | 3,745 | 2,685 |
의원 | 3,268 | 4,725 | 3,062 |
보건소 및 보건기관 | 3,674 | 5,803 | 3,558 |
가장 연봉이 높은 의료기관은 당연 상급종합병원입니다. 가장 낮은 의료기관은 요양병원이네요. 특이한 점은 병원의 평균연봉이 의원의 평균연봉보다 낮다는 점입니다.
종합병원급을 제외하곤 남녀 모두 국가의료기관에서의 평균연봉이 민간의료기관의 평균연봉보다 높았습니다.
위 통계자료는 2020년 기준입니다. 가장 최근 데이터가 2020년이라서 현재의 기준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어떤 의료기관이 가장 높은지 등만 참고하는 용도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임상병리사의 근무연차 전체 평균치라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응급구조사 1급 2급 실기시험 필기시험 과목 및 합격률
댓글